맨위로가기

캠프 캐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캠프 캐럴은 대한민국 칠곡군 왜관읍에 위치한 주한 미군의 군사 기지이다. 한국 전쟁 중 발생한 303고지 학살과 관련된 지역에 위치하며, 과거 일본군이 보급창으로 사용했던 곳에 설립되었다. 고엽제 매립 의혹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주한 물자지원사령부와 제501지원여단이 주둔하고 있다. AAFES 교환점, 수영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대구 캠프 워커와 셔틀버스로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곡군 소재의 관공서 - 대구과학수사연구소
    대구과학수사연구소는 2013년 설립되어 대구, 경북, 경남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법의학, 유전자 분석, 법독성학, 이공학 분야의 감정과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칠곡군 소재의 관공서 - 칠곡경찰서
    칠곡경찰서는 경상북도 칠곡군을 관할하며 왜관경찰서로 개서 후 칠곡경찰서로 명칭을 변경, 현재 청사에서 경무과, 생활안전과, 경비교통과, 수사과, 정보보안과와 2개의 지구대, 5개의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칠곡군의 치안을 담당한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캠프 킴
    캠프 킴은 서울 용산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로, 서울시가 부지 매입 후 행정타운 조성을 계획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주한미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 1959년 설립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1959년 설립 -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
    셰레메티예보 알렉산드르 S. 푸시킨 국제공항은 모스크바에 있는 4개의 국제공항 중 하나로, 군용 비행장에서 민간 공항으로 전환되어 2019년에 러시아 대문호의 이름을 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북쪽과 남쪽 터미널로 나뉘어 지하 셔틀로 연결되고 아에로플로트를 비롯한 여러 항공사가 취항하는 러시아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이다.
캠프 캐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캠프 캐럴
위치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유형육군 기지
건설일1959년 5월
소유미국
대한민국
사용 기간1959년 5월 – 현재
통제미국 육군
주둔 부대
주둔 부대주한 물자지원사령부
제501지원여단
지휘관
역사
건설1959년 5월, 제44공병대대
사건
주요 사건고엽제 등 독극물 매립 의혹
기타
영문 명칭Camp Carroll
한자 명칭캠프 캐럴
소속USAG 대구
공식 웹사이트United States Army Materiel Support Command - Korea

2. 역사

미군과 대한민국 국군 병사들이 303고지에 세워진 기념비에 장미를 놓고 있다.


한국 전쟁 당시 303고지에서 북한군이 저지른 만행으로 미군 포로 41명이 희생되었다. 이후 유엔군 사령부는 왜관 인근에 대량의 폭격을 가했고, 인천 상륙 작전으로 국군미군이 303고지를 탈환하였다. 캠프 캐럴은 일제강점기 일본군의 보급창이 있던 왜관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2. 1. 한국 전쟁과 303고지 학살



캠프 캐럴은 한국 전쟁에서 공산군이 저지른 가장 악명 높은 만행 중 하나가 자행된 303고지의 저녁 그림자 속에 자리 잡고 있다. 부산 주변부 초기, 공산군 전선을 돌파하려던 시도 중 1기갑사단 소속 41명의 병사들이 이 고지에서 포로로 잡혔다. 증거에 따르면 이들은 묶인 채 등 뒤에서 총을 맞았다.[1] 그 직후, 유엔군 사령부는 왜관 근처 공산군 전선에 1330ton에 달하는 고성능 폭약을 투하했고, 인천 상륙 작전 이후 공산군 후방에 제2전선이 열리면서 1기갑사단은 303고지를 탈환했다.[1]

캠프 캐럴은 약 40년 전 일본군이 보급창을 유지했던 왜관 지역에 위치한 유일한 군사 기지이다.[1]

2. 2. 고엽제 매립 논란

2011년 5월 미국 애리조나주 지역방송 KPHO-TV에서 1978년 캠프 캐럴에서 근무했던 스티브 하우스(Steve House) 등 3명이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하고 남은 다량의 고엽제를 캐럴 기지에 매립하였다"고 증언하였다.[6]

이에 5월 23일 제8군 사령관 존 D. 존슨 중장은 "1978년 캠프 캐롤 내에 많은 양의 고엽제가 매몰되었다는 주장에 대한 조사에 약간의 진전이 있었다. 우리는 캠프 캐롤에서 1978년에 특정 물질이 매몰되었다는 기록을 찾아냈다."고 밝혔다.[7]

이외에도 1960년대 후반에 제초제인 파라콰트가 매립되었다는 증언도 있으며 1972년~1975년에는 해골마크 및 독극물이 새겨진 드럼통을 부산항에 있는 주한 미군 전용 8번 부두에서 하역해 캠프 캐럴, 동두천 미 2사단, 성환 탄약창 등에 공급했던 적이 있다는 것을 전직 카투사가 증언하였고, 1975년~1976년에 공병대 헬기장을 건설하면서 폐 페인트가 대량으로 매립되었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8]

2011년 5월, 주한미군 세 명의 베테랑과의 인터뷰에서 1978년경에 캠프 캐롤에 약 250개의 55갤런들이 담긴 화학물질(고엽제로 추정됨)이 매립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 2011년 5월 22일, 제8군은 1978년에 캠프 캐롤에 화학물질, 살충제, 제초제 및 용제가 매립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했지만, 해당 물질들과 60톤의 흙은 1979년1980년에 제거되었다고 밝혔다.[3] 2011년 12월 20일, 미-한 합동 조사 결과 캠프 캐롤에 매립된 고엽제는 전혀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4]

3. 주둔 부대

4. 시설

AAFES 교환점, AMCSS(육군 군복 판매점), 식료품점, 실내외 수영장, 볼링장, 도서관, 커뮤니티 센터, 영화관이 설치되어 있다.

5. 교통

캠프 캐럴과 캠프 워커 사이를 왕복하는 셔틀버스가 운행된다. 부대와 가장 가까운 시외버스 터미널은 구미에서 출발하는 10번과 110번 시내버스, 대구에서 종착하는 250번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철도를 이용할 경우, 무궁화호 열차를 타면 왜관역에 갈 수 있다. 새마을호는 하루에 한두 번 대구나 서울로 운행한다. KTX는 왜관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6.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캠프 캐럴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칠곡군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로, 지역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환경 오염 문제는 지역 주민들의 큰 우려를 낳고 있다.

6. 1. 환경 오염 문제

1978년 미국 애리조나주 지역방송 KPHO-TV에서 캠프 캐럴에서 근무했던 스티브 하우스(Steve House) 등 3명이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하고 남은 다량의 고엽제를 캐럴 기지에 매립하였다"고 증언하였다.[6]

2011년 5월 23일 제8군 사령관 존 D. 존슨 중장은 "1978년 캠프 캐럴 내에 많은 양의 고엽제가 매몰되었다는 주장에 대한 조사에 약간의 진전이 있었다. 우리는 캠프 캐럴에서 1978년에 특정 물질이 매몰되었다는 기록을 찾아냈다."고 밝혔다.[7]

이외에도 1960년대 후반에 제초제인 파라콰트가 매립되었다는 증언도 있으며 1972년~1975년에는 해골마크 및 독극물이 새겨진 드럼통을 부산항에 있는 주한 미군 전용 8번 부두에서 하역해 캠프 캐럴, 동두천 미 2사단, 성환 탄약창 등에 공급했던 적이 있다는 것을 전직 카투사가 증언하였고, 1975년~1976년에는 공병대 헬기장을 건설하면서 폐 페인트가 대량으로 매립되었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8]

2011년 5월, 주한미군 세 명의 베테랑과의 인터뷰에서 1978년경에 캠프 캐럴에 약 250개의 55갤런들이 담긴 화학물질(고엽제로 추정됨)이 매립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 2011년 5월 22일, 제8군은 1978년에 캠프 캐럴에 화학물질, 살충제, 제초제 및 용제가 매립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했지만, 해당 물질들과 약 54431.10kg의 흙은 1979년1980년에 제거되었다고 밝혔다.[3] 2011년 12월 20일, 미-한 합동 조사 결과 캠프 캐롤에 매립된 고엽제는 전혀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4]

참조

[1] 문서 Historical Land Use and Background Survey – Camp Carroll, Korea http://8tharmy.korea[...] US Corps of Engineers
[2] 웹사이트 U.S. Veterans Admit Burying Deadly Chemical in Korea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11-05-20
[3] 웹사이트 US Army admits chemical dumping https://www.koreatim[...] 2011-05-23
[4] 웹사이트 http://8tharmy.korea[...]
[5] 웹인용 United States Army Materiel Support Command - Korea http://19esc.korea.a[...] 19th ESC 공보부 2016-01-06
[6] 뉴스인용 `33년 만에 드러난 충격적 진실` 주한미군, 고엽제 칠곡 `캠프캐럴`에 묻었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12-02-15
[7] 뉴스인용 미8군사령관 "캠프캐롤에 특정물질 매몰 기록 찾아내"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2-02-15
[8] 뉴스인용 '캠프캐럴에 독극물 묻었다'..증언ㆍ의혹제기 봇물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